마크포지드는 바로 전에 포스팅한 데스크탑 메탈과 같이 관심을 가지고 보고 있는 3D 프린터 제조업체로 2013년 설립되었고, 미국 매사추세츠 워터타운에 본사를 두고 있음 데스크탑 메탈과 마찬가지로 스팩합병을 통해서 상장했으며 2021년 7월 15일 MKFG라는 티커명으로 스팩상장했음 마크포지드 투자처로는 포르쉐,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있음 스팩주 특성대로 합병 때 급등 후 큰 하락을 보이고 52주 최저가 4.72달러에서 다시 소폭 상승하고 있는 추세임 본인은 데스크탑 메탈과 함께 3D 프린트 분야라는 큰 틀안에서 2개 기업으로 분산투자함 데스크탑 메탈의 시가총액은 1.664B, 마크포지드의 시가총액은 1.013B로 시가총액만 놓고 보면 현재로서는 마크포지드의 주가가 더 오를 가능성이 보임 대체적인 여론을 ..
데스크탑 메탈은 3D 프린터 제조업체로 2015년 10월 창립된 미국의 기업임 본사는 미국 매사추세츠 버링턴에 위치하고 있음 같은 3D 프린터 제조업체 중에서 비교할만한 곳들은 스트라타시스, 3D 시스템즈, 마크포지드 정도가 있으며 하나 더 넣자면 Velo 3D가 있음 위의 세개 기업에 대해서 이야기하기 전에 벨로 3D에 대해서 먼저 이야기 하자면 벨로 3D는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에 부품을 공급하는 업체로 알려져 있기도 함 우선 3D 프린트 분야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알아본 기업은 총 2개로 데스크탑 메탈과 마크포지드가 그것임 이 2개 기업에 관심을 가진 이유는 스트라타시스나 3D 시스템즈는 둘다 89년, 86년으로 설립된지 오래되었고 2013~2014년 이미 주가가 급등했던 기록이 있음 데스크탑메..
아마존 해외직구로 구입한 것인데 박스 상태가 영 좋지 못하다 어차피 고급박스도 아니고 내용물만 정상이면 상관은 없지만 뭘 어떻게 뒹굴었길래 박스 상태가 이렇게 더러운건지...? 저가형 카시오, 세이코 시계를 보는 것 처럼 초라한 시계상자 오리엔트 시계는 처음이다 예전부터 가성비가 좋은 시계로 소개되어서 하나쯤 갖고는 싶었는데 오리엔트 마코, 레이 같은 다이버 시계는 많이들 구매해서 후기나 사진들이 많은데 밤비노 시계는 생각보다 많이 보이질 않았다 시계 설명서(매뉴얼)과 보증서가 들어있는데 한글은 아쉽게도 없다 로마숫자의 인덱스와 크림색 다이얼이 매력적이다 개인적으로는 레트로한 감성을 좋아해서 오리엔트 로고도 좋게 보이는데 오리엔트의 로고가 촌스러워보여서 구매를 망설이는 사람도 있는 것 같다 참고로 화이트..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고나서 부터 이것저것 손을 대보기는 했지만 결국 지금 현재 하고 있는 것은 연금저축과 미국주식 두가지이다 국내주식장에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종목은 하나도 없고 암호화폐의 경우에는 변동성이 너무 심해서 자주 들여다볼 시간이 없어서 그냥 넣어두고 존버형식으로 놔두고 있는 정도이다 연금저축도 결국 미국 관련 ETF를 구매하는 것이기 때문에 미국주식에만 손을 대고 있다고 보는 편이 맞다 보유하고 있는 리스트를 보면 평가손익률이 모두 플러스를 기록하고 있지만 수수료를 제외하면 수익률은 0.5%~1% 내외로 줄어든다 가장 최근에 매입한 종목은 KODEX 유럽탄소배출권선물ICE(H)와 KODEX 은행 이다 KODEX 은행은 예전에 한번 수익을 보고 모두 정리했었는데 (익절) 최근에 다시 들어온 경..
KODEX 유럽탄소배출권선물ICE(H) 종목코드 : 400570 상장일 : 2021년 9월 30일 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총보수 : 0.64% 국내 신규상장 탄소배출권 ETF 4종 비교 분석 지난 9월말, 탄소배출권 ETF 4종이 신규 상장했다. 삼성자산운용에서 출시한 KODEX 유럽탄소배출권선물ICE(H), 신한자산운용에서 출시한 SOL 글로벌탄소배출권선물IHS(합성), SOL 유럽탄소배출권선물S& dungab.tistory.com 탄소배출권과 관련된 ETF를 일전에 소개한 바 있는데, 이때의 포스팅에서는 신규상장하는 4개의 ETF에 대한 간단한 소개가 전부였다 그 중에서 KODEX 유럽탄소배출권선물ICE(H)는 2021년 9월 30일 상장이후 21년 12월 기준 약 28%의 상승률을 보여주고 있는데,..
100만원 ~ 200만원대 시계로 오게되면 이제는 시계 하나하나 보다는 드레스워치냐 다이버워치냐에서 먼저 갈리게 되고, 그 다음 선호하는 브랜드를 따라서 취향을 많이 타게 되는 것 같다 가성비도 중요하겠지만 아무래도 선호하는 브랜드로 고르는 느낌스 먼저 소개할 시계는 프레드릭 콘스탄트 문페이즈 드레스워치로 인기 많은 시계이며, 아래쪽에 위치한 문페이즈가 매력적이다 리테일가는 1,750달러로 나와 있는데 100만원 초중반에 위치한 가격대라고 보면 된다 케이스 사이즈는 40mm, 두께는 11mm로 드레스워치로 적당한 사이즈 FC-330 오토매틱 무브먼트 밴드폭 24mm, 방수 성능은 60M 제품보러가기 융한스 막스빌 크로노스코프 리테일가 1,800달러 현재 국내에서는 200 이상을 줘야 구할 수 있는 것 같..
2021년 11월, 디즈니플러스가 드디어 한국에 상륙했다 한달 구독 멤버십 이용료는 9,900원으로 넷플릭스나 왓챠 같이 멤버십 등급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 같고 월이용료를 내면 최대 4K 화질까지 지원하는 것 같다 아직 서비스 초기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인터페이스가 불편한 점도 많지만 디즈니만의 컨텐츠를 즐기기 위해서는 구독할만하다고 생각된다 월이용료는 9,900원이지만 1년치를 한번에 이용하면 99,000원으로 1년으로 봤을 때 19,800원을 세이브할 수 있다 여기까지는 디즈니플러스 자체적으로 한번에 1년 구독하면 받을 수 있는 혜택 거기에다가 샵백이라는 캐시백 사이트를 이용하면 추가적으로 15,000원을 캐시백 받을 수 있고 추천인을 통해 가입하면 11,000원을 추가로 적립받을 수 있기 때문에 최..
일전에 테슬라가 배터리를 자체 생산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기존 배터리 공급 업체와의 협업을 중단하는 것 아니냐는 소리가 나왔었다 2009년 부터 테슬라에 배터리를 공급해오던 파나소닉의 경우에는 21년 중순쯤 파나소닉이 보유하고 있던 테슬라의 지분을 매각하면서 사업관계에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닌지 투자자들이 우려하기도 했지만 현재 파나소닉이 신형 4680 배터리 양산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둘 사이의 파트너쉽은 건재한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에서 리튬배터리는 곧 일반 자동차로 따지면 효율 좋은 연비 좋은 자동차로 가는 길이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하다 이번에 파나소닉이 대규모 투자를 통해서 생산을 앞두고 있는 4680 배터리는 기존 파나소닉의 배터리 대비 에너지는 5배, 출력은 6배 이상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
2021년 10월 13일 메타버스와 관련된 ETF가 국내에 상장하게 되면서 개인투자자들의 집중투자로 상장이후 지금까지 1,000억원 이상의 투자금이 몰렸다 약 10일 정도의 기간 동안 ETF 4개의 평균성장률은 12%를 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기 ETF는 다음의 2개와 같다 Tiger Fn메타버스 종목코드 : 400970 상장일 : 2021년 10월 13일 운용사 : 미래에셋자산운용 펀드보수 : 0.45% Kodex K-메타버스액티브 종목코드 : 401470 상장일 : 2021년 10월 13일 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펀드보수 : 0.5% 미래에셋에서 운용하는 Tiger Fn메타버스의 주요구성종목을 보면 상위 5개 종목 중에서도 상위 3개가 JYP, 하이브, YG로 이루어진 만큼 엔터주로 보아도 무방할 ..
지난 9월말, 탄소배출권 ETF 4종이 신규 상장했다. 삼성자산운용에서 출시한 KODEX 유럽탄소배출권선물ICE(H), 신한자산운용에서 출시한 SOL 글로벌탄소배출권선물IHS(합성), SOL 유럽탄소배출권선물S&P(H) NH아문디자산운용에서 출시한 HANARO 글로벌탄소배출권선물ICE(합성) 이렇게 4가지 ETF 상품이 한번에 출시상장되었다. 기존에는 탄소배출권에 투자하고 싶다면 미국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티커명 KRBN의 KraneShares Global Carbon ETF에 직접 투자해야 했다. KRBN은 지속적으로 우상향 그래프를 그려오고 있으며, 연초 대비 상승률은 60% 이상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에 탄소배출권 ETF가 상장된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많은 투자자들이 몰려들었고, 환경과 관련된 것..
VOO는 대표적인 S&P500 ETF로,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다. S&P500은 미국 Standard&Poor's에서 선정한 상위 500개 기업에 대한 주가 지수를 나타내며, S&P500에 포함되는 기업은 시가총액순으로 선정되기 때문에 대부분 미국의 우량기업이라고 생각하면 되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미국의 기업들 대부분이 여기에 속해 있다. 따라서 S&P500은 미국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지수이기 때문에 S&P500에 대한 투자는 곳 미국 주식 시장 전체에 대한 투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서 특히 추천하는 것인 VOO라는 ETF로, 비슷한 ETF로는 SPY, IVV, SPLG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삼성, 미래에셋 등 운용사에 따라서 다를 뿐 모두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것..
요즘 메타버스 산업이 꽤나 핫하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유행을 쫓아가기 바쁜 탓에 아직 활성화되지 않거나 잘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 하지만 메타버스 산업이 앞으로 미래산업으로 인정 받아 활성화가 된다면 우리나라에서도 후발주자로 뛰어들게 되더라도 충분히 노하우를 이용해서 산업의 선두를 차지할 가능성도 다분하다. 누구보다 빠르게 공략법을 숙지하고 파훼법을 찾아내는 것이 우리나라 사람들의 종특이니까... 게임에서도 그렇고 KPOP과 같은 아이돌문화나 드라마 등만 보더라도 그렇다. 어쨌거나 해외를 중심으로 게임이나 유튜브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메타버스 산업이 한창 성행이다. 게임의 경우 로블록스, VRCHAT 과 같은 세상 속에서 현실에서처럼 옷을 만들어 팔거나, 아바타를 만들어서 파는 등 게임 속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