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NDEX 국고채 10년 종목코드 : 365780 상장일 : 2020년 10월 15일 운용사 : 한국투자신탁 총보수 : 0.1% 2020년 10월 15일 상장한 "KINDEX 국고채10년"은 KIS채권평가가 발표하는 KIS 10년 국고채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는 국고채 10년 지수를 추종하는 현물형 채권ETF로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와 유사하도록 운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 국고채를 보면 3년 혹은 10년 상품이 주된 상품인데, 10년 만기 국고채권 3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만큼 장기국고채와 같은 채권에 관심 있다면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다른 상품과 다르게 이번 KINDEX 국고채10년은 배당이 없다. 대신 배당금 전액을 지수 수익률로 재투자하기 때문에 따로 배..
60/40 포트폴리오는 장기투자를 위한 자산배분의 초석같은 역할을 해왔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단순하게 주식과 채권을 60%, 40%로 구성한 것인데, 오랫동안 주식을 기반으로 한 수익과 채권의 위험 감소에 있어서 적절한 균형을 이루어 주는 포트폴리오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60/40 포트폴리오와 비슷한 것으로는 워렌버핏의 90/10 포트폴리오가 있다. 주식계에서 다른 사람은 몰라도 워렌 버핏은 일반인도 알 정도인데, 워렌 버핏이 아내의 재산을 90% 주식, 10% 채권으로 구성한 것으로 유명하다. 60/40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이미 죽은 포트폴리오라는 견해를 내기도 한다. 하지만 장기투자로써 사용될 포트폴리오는 언제든지 사용자에 의해서 변형이 가능하다. 단순히 60/40 이라는 비율을 맹목적으로 지..
황금나비 포트폴리오(Golden Butterfly Portfolio)는 영구 포트폴리오의 변형 버전으로 PortfolioCharts.com의 타일러에 의해서 만들어진 포트폴리오다. 영구 포트폴리오가 모든 자산군이 25%의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처럼 황금나비 포트폴리오는 20%의 동일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 비중은 다음과 같다. 미국주식 20% 미국소형주 20% 장기채권 20% 단기채권 20% 금 20% 황금나비 포트폴리오는 영구 포트폴리오와 비교했을 때 변동성이 조금 더 높아진다. 백테스트 결과상으로는 변동성을 감수하고 수익률이 더욱 증가하였지만 백테스트 결과는 말그대로 과거의 데이터를 통한 결과물이기 때문에 미래는 어떻게 될지 모른다. 어찌되었건 안정성을 우선으로 한 영구포트폴리오 대비 변동..
이번에 따라서 구성해볼 것은 영구 포트폴리오(Permanent Portfolio)다. 영구 포트폴리오라고 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영구 없다~" 할 때 영구와 땡칠이의 영구를 떠올릴지도 모른다. (아재?) Permanent는 영구적인, 지속가능한 이라는 뜻을 가진 영단어다. 영구 포트폴리오는 1980년대 해리 브라운에 의해 만들어진 4분할 포트폴리오다. 포트폴리오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미국주식 25% 장기채권 25% 현금 25% 금 25% 주식 / 채권 / 금 / 현금 4가지의 자산을 25%의 동일한 비중으로 보유하면 되기 때문에 상당히 간단한 포트폴리오라고 생각할 수 있다.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인플레이션을 대비할 수 있고, 채권은 물가와 금리 하락에 대한 대비책이 된다. 현금의 경우 인플레이션 ..
자산배분 포트폴리오를 연금저축에 적용시키는 방법 헷지(hedge)란 무엇인가? 헷지투자전략 헷지란? 사전적 의미로의 헷지는 울타리, 대비책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주식을 비롯한 투자를 할 때 위험에 미리 대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주식시장이 dungab.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자산배분 포트폴리오에 대해서 맛보기로 알아보았는데, 이번 포스팅부터는 유명한 포트폴리오들을 연금저축펀드계좌에서 응용하려면 어떤 ETF를 담아야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 첫번째로 구성해볼 포트폴리오는 레이 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 올 웨더 포트폴리오는 레이 달리오의 헤지펀드 회사인 브릿지워터의 리스크 패리티 기반인 올 웨더 펀드를 모델로하여 대중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포트폴리오다. 레이 달리오는 ..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주변에서 연금보험에 가입해야된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을 것이고, 권유도 많이 받게 된다. 특히, 연말정산 때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 연금보험에 가입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연금보험은 안정적이라는 측면에서는 장점이 될 수 있지만 사업비 명목으로 7~8%의 높은 수수료를 떼가기 때문에 아까운게 사실이다. 해지하고 싶어도 엄청난 손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해지할 수도 없다. 하지만 다행히도 연금저축 이전 제도라는 것을 통해서 개인연금을 이전시킬 수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의외로 간단하게 연금저축을 이전할 수 있다. 먼저 연금저축계좌를 개설해야한다. 옮기고 싶은 증권사를 정했다면, 어플을 통해서 비대면으로 계좌를 개설해주고, 이전 신청 메뉴를 찾아서 이전 신청을 해주고 ..
헷지(hedge)란 무엇인가? 헷지투자전략 헷지란? 사전적 의미로의 헷지는 울타리, 대비책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주식을 비롯한 투자를 할 때 위험에 미리 대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주식시장이 불안할 때 안전자산인 금에 미리 투자 dungab.tistory.com 이전 포스팅을 통해서 분산투자에 대한 중요성을 다룬 적이 있다.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유명한 격언이 주식투자자들에게는 익숙할 것이다. 연금저축펀드계좌를 통해서 대부분 ETF를 매수/매도한다. ETF는 상장지수 펀드라는 말로 해석되는 Exchange-Traded Fund의 약자이다. ETF는 주식과 펀드의 중간에 위치한 개념으로 ETF를 구매하는 것만으로도 분산투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마존, 테슬라와 같은 주식을 사고..
사회생활을 처음 시작하는 사회초년생들이 월급을 받기 시작하면서 가장 많이 추천 받는게 연금저축보험이다. 개개인의 성향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월급을 받으면 일부는 생활비로 사용하고 적금에 들기도 한다. 재테크는 하고 싶지만 잘 모르기 때문에 막연하게 적금을 넣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물론 잘 모를 때는 적금으로 돈을 모으는 것이 가장 안전한 선택이다. 그렇다면 연금저축 보험은 뭐고 펀드는 뭘까? 우선 연금저축보험은 보험사에서 연금저축펀드는 증권사에서 판매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연금보험에 가입하는 이유는 안정적으로 금리에 따른 수익을 내고, 월납입을 통해서 적립만하면 된다는 편함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적어도 자신의 자산을 관리함에 있어서 어느 정도 공부와 관심이 필요한 만큼 각각의 장단점을 살펴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