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유쾌마운틴을 보고 싶지만 저사양 컴퓨터라서 못 돌려 보시는 분
초보자들을 위한 온라인으로 돌리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 입니다
Stable Diffusion Web Ui 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실행해보는 것이니까요
우선, 컴퓨터 사양이 된다면 윈도우 OS, 리눅스, Mac 등에서
파이썬 등의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Ai 그림그리기의 경우 GPU(그래픽카드)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GPU 메모리가 최소 4gb 이상은 되어 주어야 하는데
메모리가 부족하다면 오류가 발생하면서 그림을 생성하지 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구글 콜랩(Google Colab) 이라는 것을 이용해서
구글의 컴퓨터로 Ai 그림그리기를 해보겠습니다
https://github.com/AUTOMATIC1111/stable-diffusion-webui
위의 GitHub 링크를 타고 들어가서 아래쪽으로 스크롤하다 보면
설치와 실행에 대한 가이드가 나오는데 아래쪽의 윈도우, 리눅스 설치 가이드는 무시하고
List of Online Services 를 눌러줍니다
온라인 서비스 중에서 구글 콜랩 탭에서 아무거나 해도 되겠지만
저는 by TheLastBen을 눌러 들어가주겠습니다
링크를 눌러주면 이렇게 구글 콜랩 사이트로 연결이 되고
개발자가 만들어 놓은 코드를 이용해서 실행시켜주기만 하면 됩니다
코드 셀의 가장 왼쪽에 보면 코드 실행 버튼(▶)이 보입니다
차례대로 눌러주면 되는데 가장 위쪽에 drive.mount 코드를 실행시켜주면
구글 로그인을 필요로 합니다 구글 로그인을 해주고
구글 드라이브 사용권한을 허용해줍니다
그리고 Install/Update, Requirements 까지 코드를 실행해줍니다
Model Download/Load 코드를 실행해주기 전에 모델 파일 링크를 걸어줄 겁니다
기본적인 모델을 사용해주거나 구글 드라이브에 업로드해서 사용할 수 도 있지만
우선은 초보자 가이드로써 빠르고 쉽게 대유쾌마운틴을
감상하러 갈 수 있는 지름길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허깅 페이스라는 사이트에 접속해서 검색창에 원하는 모델을 입력해줍니다
저는 맛있는 OrangeMixs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추천 모델로는 Anything, basil mix 등이 있습니다
WarriorMama777의 OrangeMixs를 검색해서 눌러주고
Files and versions 탭에서 Models 폴더에 들어가줍니다
Abyss, Blood, Eerie, Ely 등 모델이 여러가지 있습니다
모델은 쉽게 말하면 자동차의 엔진과 같은 것으로 가장 중요한데
그림체 부분을 담당하는 것입니다 애니메이션체, 실사체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저는 AbyssOrangeMix2 모델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빨간색 박스 안의 safetensors 파일을 사용하겠습니다 그냥 클릭하시구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궁금하시면 NSFW 검색해보세요
컴퓨터에서 작업한다면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지만 우리는 온라인에서 구동합니다
download 부분에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서 링크 주소를 복사해줍니다
복사한 주소를 구글 콜랩 코드의 MODEL_LINK 부분에 붙여넣기 해주고
아래쪽 safetensors에 체크해주고 코드를 실행해주세요
Model Download/Load 탭에서 먼저 모델 다운로드 주소를 넣어 놓고
위에서 부터 코드 실행 버튼을 누르고 설치나 세팅이 완료되면 다음 코드를 실행해주면 됩니다
모델 다운로드 및 사용준비가 완료되면 Start Stable-Diffusion 코드를 실행해주세요
기다리다 보면 URL 주소가 하나 나타나면서 연결되었다고(Connected) 나타납니다
주소로 들어가면 Stable Diffusion web Ui 맛보기 시작입니다
주소로 들어가면 대충 이런 인터페이스로 나오는데요
txt2img 탭에서 이미지를 생성해보겠습니다
텍스트를 입력하면 이미지를 생성해준다는 뜻입니다
프롬프트는 입력할 텍스트를 나타내는데 Ai가 이해하기 쉽게
단어로 정렬해서 적도록 하겠습니다 네거티브프롬프트는 뺄 것들을 적어줍니다
샘플링 방법, 샘플링 단계, CFG스케일 등이 있는데
수치에 따라서 이미지가 깨지거나 하기 때문에 기본값으로 해주어도
만족할만한 결과물을 우선 확인할 수 있습니다
Seed는 -1로 세팅해놓으면 생성 버튼을 누를 때 마다 랜덤으로 이미지가 생성됩니다
가로, 세로 이미지도 512가 기본인데 컴퓨터에서 작업할 때 사양이 낮으면
512 사이즈의 이미지도 생성을 하지 못하지만 구글 콜랩을 이용하기 때문에
600*800 사이즈로 4장 만들어보겠습니다
Batch Count의 값을 4로 놓고 생성하면 이미지 4장을 생성합니다
당연히 10장, 20장씩 생성하면 시간은 엄청 늘어나기 때문에
적당한 값으로 만들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생성된 이미지는 따로 눌러서 확인해볼 수 있고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어떤 텍스트(프롬프트)를 입력하느냐에 따라서 결과값이 많이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군데 군데 어색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손가락 이라던가)
하지만 이정도면 꽤 괜찮은 재밌는 결과물이지 않나 싶네요
그럼 자신만의 프롬프트와 설정을 통해서 유쾌함을 즐기세요
'정보기술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Windows10) 설치용 USB 만들기 가이드 (0) | 2023.02.17 |
---|---|
중고나라 이상거래 의심 서비스 활동제한 이유와 해제방법 (1) | 2023.02.10 |
[패시브인컴] Honeygain(허니게인) 인터넷 대역폭 공유를 통한 달러 모으기 (3) | 2023.01.10 |
2023년 코로나 생활지원금 온라인 신청방법 및 후기 (0) | 2023.01.09 |
현대 순정 네비게이션 업데이트 방법 (feat. YF소나타) (2) | 2022.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