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DEX 은행 vs TIGER 은행, 비교분석 (은행ETF 사야되는 이유)

반응형

 

 

연금저축용 ETF 알아보기 / KODEX 은행

KODEX 은행 종목코드 : 091170 상장일 : 2006년 6월 27일 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총보수 : 0.3% 한국거래소에서 산출하는 KRX 은행 지수를 추종하며, 국내 은행을 대표하는 금융지주회사 및 은행들로 구성

dungab.tistory.com

작년에 이미 KODEX 은행 ETF에 관해서 알아본 적이 있다

그때 봤던 역대 최고가와 최저가는 각각 8,550원과 3,621원이었고

변동폭이 크다는 생각과 코로나, 미연준의 금리인상 등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 세계경제상황속에서

장기적으로 들고 가기엔 무리가 있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1년 이상 들고 있으면서 배당금도 받아보니 생각이 조금 바뀌었다

 

 

작년에 확인했던 배당수익률은 3% 내외였지만

최근 배당수익률은 보면 5%가 넘는다(22년 4월 기준)

 

은행의 예·적금 이율이 1~3% 정도 하는 것을 생각해보면

차라리 은행 ETF에 넣어두고 인플레이션을 대비하며, 배당금을 받는 것이

훨씬 정신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이 된다

그래서 여유자금이 생기면 은행 ETF를 추가매수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다음은 KODEX은행과 TIGER은행 ETF를 비교한 것이다

KODEX은행의 연펀드보수는 0.3%, TIGER은행의 연펀드보수는 0.46%

연펀드보수(수수료)는 장기적으로 들고 있을 때 중요하게 봐야될 항목으로

KODEX은행이 0.3%로 더 저렴하기 때문에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KODEX 은행 시가총액은 2500억, TIGER 은행 시가총액은 129억

시가총액과 거래량도 KODEX 은행이 TIGER 은행에 비해 유리하다

장기투자시 거래량이 적더라도 크게 상관이 없지만

흔히 말하는 단타칠 때는 거래량이 중요하다

 

22년 4월 기준 KODEX은행과 TIGER은행 상위 5개 종목

KB금융(20.97%), 하나금융(20.49%), 신한지주(19.85%), 우리금융(14.40%), 카카오뱅크(10.84%)

KB금융(20.13%), 하나금융(19.52%), 신한지주(18.90%), 우리금융(13.70%), 카카오뱅크(10.33%)

 

둘다 순서대로 KB, 하나, 신한, 우리, 카카오뱅크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구성종목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때문에 수수료, 거래량, 시가총액 등 여러부분을 고려했을 때 딱히 TIGER은행을 선택할 이유는 없다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