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X지수를 통한 변동성 투자전략, Short-Term VIX x0.5 SVXY ETF

반응형

 

VIX지수란 무엇인가? 공포지수 그리고 변동성 지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미국 시장에 투자하는 투자자라면 알아두면 좋은 상식으로 VIX지수라는 것이 있다 VIX지수는 Volatility index라고 해서 변동성 지수를 뜻하는데 쉽게 설명하면 나스닥이 오르면 VIX지수는 하락하고

dungab.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VIX지수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봤다면

나스닥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할 때마다 VIX지수의 변동을 살펴볼 것이고

그에 따라서 롱과 숏에 대응하는 ETF에 분산투자하여 헷지하는 방법으로

변동성에 투자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VIX 변동성 투자전략 혹은 매매전략에 사용할 것은 UVXY와 SVXY 2가지 인데

이번시간에는 SVXY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종목코드 SVXY는 ProShares Short VIX Short-Term Futures ETF 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VIX 선물 롱 포지션의 반대를 추종하는 ETF 이다

현재 추종지수는 x0.5로 VIX의 반대길을 걷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우상향한다

즉, VIX는 장기적으로 우하향한다는 뜻

위 그래프는 보면 알 수 있듯이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고 있고

2018년 액면병합으로 인해서 절벽이 하나 생겼지만 그 이후의

1년 그래프는 보면 41달러에서 현재 55달러로 조금씩 상승중이며

지난해 대비해서는 33% 상승률을 보여준다

 

때문에 기본적으로 변동성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SVXY에 투자하는 것이 우선이다

장기적으로 우상향 하기 때문에 물리더라도 존버하기 좋다

반대로 볼 것으로 VIXY, UVXY, TVIXF 3개 ETF가 있는데

각각 1배, 1.5배, 2배라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

하지만 이것들은 매수매도타이밍을 VIX지수만을 바라보며 투자하기에는 리스크가 좀 있다

 

VIX 지수는 보통 20 아래를 안정기라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15~20 사이에 있을 때는 시장흐름이 안정적으로 보는 것이고

VIX 지수가 높을 수록 주가가 요동치는 경우가 잦다

 

SVXY를 우선 매수하고 VIX 지수를 보며 UVXY와 같은 1.5배 레버리지의 ETF를 통해서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헷지하는 것이 변동성 투자전략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